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푸른미래강화교육축전

부스지도

구글 크롬,
마이크로소프트 엣지 브라우저 등
최신버전의 브라우저 사용을 권장합니다!

제6회
푸른미래강화교육축전
설문조사

아래의 QR코드를 찍으시거나,
아래의 링크 버튼을 클릭하여
설문조사를 해주세요.

설문조사 바로가기
오늘 하루 보지않기

강화도의 중심 고장 강화읍은 고려시대 대몽 항쟁 기간 중 천도한 왕도로, 고종과 원종이 이곳에서 국가를 통치했다.
또 조선시대에는 정묘호란 때 인조가 피난와 머물렀다.
이렇게 고려와 조선의 험난한 역사를 함께한 강화읍에는 고려와 조선시대에 걸친 유적과 철종이 왕위에 오르기 전 살던 용흥궁 등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을 간직하고 있다.

강화나들길 ☞

강화나들길은 화남 고재형 선생님이 강화도의 유구한 역사와 수려한 자연을 노래하며 걸었던 강화의 끊어진 길을 잇고 잊힌 길을 찾아 강화가 품고 길러낸 자연과 땅 위의 모든 것과 연결한 길입니다

국화리팜랜드 ☞

농촌의 자연과 소통, 함께하는 상대방과 어울림의 관계 형성을 목표로하는 '국화리팜랜드'

한두뼘 1,2 미술관

1명의 작가가 작가의 소명으로 학연지연이나 혈연에 관계없이 가정형편이 어렵지만 재능이 있는 아이 2명의 미래를 위해 함께 전시하며 꿈을 키워나가는 곳 입니다.
인천시 강화군 강화읍 강화대로 422(남궁의원 2층)
032-932-9005

강화군어린이급식관리 지원센터 ☞

어린이 대상급식소의 효율적 영양관리를 위한 식단 개발, 영양 및 식사지도 자료 지원, 안전한 위생관리를 위한 위생교육 자료 개발 및 프로그램 운영의 업무를 수행하는 강화군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교동면

고구려 시대에는 고곡근현이었으며, 신라시대에는 교동현이라는 지명으로 개칭해 강화와는 별도의 지방 행정 구역이었다.
1692년부로 승격되었으며 경기수군절도사가 도호부사를 겸직하였다.
1895년 강등되어 강화군에 속하게 되었다.
교동이란 예전부터 큰 오동나무가 자생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넓은 황금벌판이 장관을 이룬다.

  • 홈페이지
    온배움으로 함께 성장하는 행복한 교동초등학교

  • 영상보기 홈페이지
    강남 갔던 제비가 다시 돌아와 봄을 노래하고, 교동 섬쌀을 수확하는
    풍요로운 황금 들판이 공활한 가을 하늘과 한데 어우러지는 교동중학교

(사)새우리누리 평화운동

평화의 의미를 여러가지 체험 및 활동을 통해 배우는 곳.

체험 프로그램 1) 평화만들기 체험 및 평화 나들길 걷기
2) 평화의 배 체험학습
3) 유라시아 평화지도자 미래 동반자와 시간여행

인천 강화군 교동면 대룡안길 31-3
032-933-6538

바로가기

송해면

조선시대 이래 송정포(松亭浦)의 이름을 따서 송정면(松亭面)으로 칭하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때 송정면(松亭面)과 삼해면(三海面)을 병합하고 송정면에서 송(松)자와 삼해면에서 해(海)자를 따서 송해면이라 칭하였다.

  • 영상보기 홈페이지
    아름다운 산과 들, 바다로 둘러싸인 송해초등학교는 85년의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며 연 속에서 큰 꿈을 키워가는 모두가 주인공인 행복한 학교입니다.

화문석마을 ☞

전통 문화인 화문석을 다양한 방법으로 체험할 수 있다.
체험 프로그램 1) 농사 체험
2) 화문석 체험
3) 두부 및 순무김치 만들기

인천 강화군 교동면 대룡안길 31-3
032-933-6538

강화도령 화문석 ☞

전통 문화인 화문석을 다양한 방법으로 체험할 수 있다.
체험 프로그램 1) 평화만들기 체험 및 평화 나들길 걷기
2) 평화의 배 체험학습
3) 유라시아 평화지도자 미래 동반자와 시간여행

인천 강화군 교동면 대룡안길 31-3
032-933-6538

길상면

길상면에는 정족산과 길상산이라는 명산이 있으며, 강화해협의 남쪽 관문인 초지진과 강화에서 가장 큰 사찰인 전등사가 있다.
길상산에는 양마목장이 있었고 임금께 진상하던 약쑥과 감목관에서 향탄을 공급하는 등 마을의 터가 좋아 행운이 깃들었다는 뜻으로 길상이라 하였다고 한다.

  • 영상보기 홈페이지
    길상면 중심지에 위치한 아름답고 상서로운 일들이 항상 일어나는 길상초등학교는 100년 전통을 자랑하고 학교를 둘러싼 정족산과 함께 교훈인 '큰 사람'을 키우며 희망과 미래를 만들어 가는 행복한 배움터입니다.

  • 영상보기 홈페이지
    배움을 즐기는 학생, 사랑으로 관심을 주는 학부모, 교육전문가로 거듭나는 교사, 배움을 통해 함께 성장하는 행복한 강남중학교입니다.

교육 컨텐츠

내가면

강화도의 서쪽 중앙에 위치한 내가면의 동쪽은 고려산과 혈구산이 둘러싸고 있는 분지형 지역이며, 서쪽은 간척지 사업으로 넓은 들이 있는 지역이다.
선사인들의 무덤인 고인돌이 고려산에 분포하며, 계룡돈대에 올라서면 우리 조상들이 공들여 쌓은 제방 덕분에 가을철이면 끝없이 펼쳐진 황금들판을 볼 수 있다.

  • 영상보기 홈페이지
    아름다운 곳으로 들어가는 입구라는 (美口地)를 지나 강화 최대의 담수량을 자랑하는 내가저수지를 마주한 곳에 자리 잡은 내가초등학교는 함께 배우고 나누며 꿈을 키워나가는 행복한 학교입니다.

교육 컨텐츠

불은면

고능리 침저산에 자은사가 있었는데, 1270년 이 사찰에 있는 연못이 붉은 핏빛으로 변해 큰 이변이 있을 것을 예고했다고 한다. 그 해에 삼별초의 반란으로 인해 강화도에서 무수한 사람들이 죽어 자은사의'은(恩)'자를 붙여 불은면이라 이름 지었다고 전해진다. 이 마을에는 조선시대에 강화 방어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한 광성보와 덕진진 등이 있다.

  • 홈페이지
    봄바람 맞으며 두두미를 걷노라리, 온마을의 산과 내가 한눈에 들어오네 ~’화남 고재형 심도기행 두두미동의 한시(漢詩)로 유명한 호랑이가 품은 마을(두두미(斗頭尾)에 위치한 불은초등학교입니다. 불은초등학교는 발길 닿는 곳마다, 흐르는 역사가 넘치는 마을에서 ‘참 배움’을 통해 ‘참 삶’을 가꾸어 나가는 아이들과 선생님 그리고 마을이 함께하는 학교입니다.

  • 영상보기 홈페이지
    배움의 즐거움과 꿈이 넘치는 행복한 배움터인 우리 삼성초등학교는 60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역사 깊은 학교로서 모든 교육공동체가 함께 만들어가는 행복한 학교로 발돋움하고 있습니다

교육 컨텐츠

바람 숲 그림책 도서관 ☞

그림책 전문 도서관으로 그림책과 자연이 함께 어우러진 문화공간입니다.

체험 프로그램 1) 책 놀이 프로그램 운영
2) 그림책 테라피
3) 그림책 힐링 캠프

인천 강화군 불은면
070-4109-6280

농업법인(주) 강화도꽃마니에뜨락

도시민들이 시골을 동경하는 마음, 문화 취미활등을 함께 연구하고 지낼 수 있는 공간을 6차산업 토대로 여러가지 체험활동을 제공 하고있다.

체험 프로그램 1) 식물키우기
2) 음식만들기
3) 압화 및 꽃차 체험

인천 강화군 불은면 화남 2길 20
032-937-4665

강화도는 고려시대부터 활발한 간척사업이 이루어져 여러 개의 섬이 통합되어 하나의 큰 섬이 되었는데, 삼산면의 석모도에 있는 사지평과 송가편이 대표적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석모도에 있는 해명산, 상봉산, 상주산 등 세 개의 산으로 인해 삼산면이라 이름 붙였다.

  • 영상보기 홈페이지

    우린 갯벌에서 체험하고 석모도수목원을 산책하며 모래사장에서 논다. 해명산, 상주산, 상봉산이 불어주는 바람을 맞으며 매일 즐겁다. 매일 행복한 우린 삼산초등학교

  • 영상보기 홈페이지

    석모도 남쪽 해명산과 황해가 펼쳐진 아름다운 해명초등학교는 행복한 웃음을 찾아주는 교육의 장이며 꿈과 사랑을 키워가는 행복한 학교

  • 영상보기 홈페이지

    가고 싶은 학교, 머무르고 싶은 학교, 꿈을 키워주는 삼산승영중학교

교육 컨텐츠

서도면

강화도 서쪽에 있는 주문도·아차도·볼음도·말도 등 네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행정구역으로 임경업 장군과 연결된 구전이 내려온다.
천연기념물 제304호인 강화 볼음도 은행나무는 해안가에서 해풍을 맞으며 자란 천년이 다 되어도 마치 분재 같은 느낌을 준다.

  • 영상보기 홈페이지
    서도초등학교는 주문도 섬 소재지의 학교로서 초중고 통합하여 운영하는 학교입니다. 전교생이 6명으로서 아주 작은 규모의 학교이지만 학생들의 꿈, 따뜻한 감성과 배움의 즐거움이 있는 행복한 학교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학생들의 꿈과 끼를 키워줄 수 있는 다양하고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통해 꿈, 성장, 사랑이 샘솟는 모두가 행복한 배움터입니다.

    서해의 푸른 바다가 시원하게 펼쳐져 있는 작지만 행복한 섬마을 학교입니다. 초중고등학교가 한 울타리에 있는 통합학교로 특색있는 창의융합교육과정 운영을 통하여 참된 학력신장, 참여 자치의 민주적 공동체 형성, 마을과 함께하는 교육공동체로 꿈 성장 사랑이 샘솟는 행복한 학교입니다.

볼음생태계마을 영농법인

마을 공동체를 기반으로 마을활성화 방법을 찾아가고, 볼음도 지역의 마을성장과 특화상품 개발을 하는 곳.

체험 프로그램 1) 볼음도 게스트하우스 체험프로그램
2) 백합조개캐기및 갯벌체험(경운기.트랙터이용)

010-3366-4591

바로가기

선원면

고려 팔만대장경의 산실이며 고려 3대 사찰 중의 하나인 선원사嬋源寺에서 음을 따와 1413년(조선태종13) 선원면으로 개칭하였다.
《병와문집甁窩文集》에 의하면, 1637년 병자호란 당시 순절한 김상용이 살았던 곳으로 김상용의 호가 선원仙源로 한자 훈을 변경했다고 한다.

  • 홈페이지
    강화의 정기를 품은 기운찬 혈구산과 늠름한 천지송의 기상이 넘치는 곳에 자리잡은 선원초등학교는 이제 곧 100돌을 맞이합니다. 올바른 품성과 깊은 생각으로 실력과 감성을 높여 꿈을 키워나가는 행복한 학교입니다.

교육 컨텐츠

도래미 마을 ☞

역사.문화적으로 풍부한 볼거리와 값진 땀방울과 정성으로 재배한 건강한 먹거리가 있으며 숙박시설, 회의실, 야외공연장 등 다양한 편의시설을 갖추고 있음

체험 프로그램 1) 사계절: 떡매치기, 쑥개떡 만들기, 두부 만들기, 계란꾸러미, 천연염색, 王골핸드폰고리만들기
2) 계절 별 수확물 캐기 및 놀이 활동

인천광역시 강화군 선원면 해안동로 1129-19
032-934-4994

바로가기

1413년에 위량면과 삼도면으로 구분된 행정구역을 일제 강점기인 1914년에 가운데 한자 운을 합쳐 양도면으로 개명되었다.
진강산이 중앙에 자리 잡았으며, 진강산 주변으로 석릉, 가릉, 곤릉, 인산리 석실분, 능내리 석실분 등 고려시대의 왕릉과 석실분이 분포되어 있다.

  • 영상보기 홈페이지

    정답고 신나는 행복한 성장배움터이며 아이들이 사랑하는 학교. 자연의 친구 양도초등학교입니다.

  • 영상보기 홈페이지

    우리 학교는 친구는 경쟁이 아닌 친구와 더불어 서로 협력하고 존중하는 교육 활동으로 학생 서로 간의 연결망을 확장 시키고 창의성을 키워가는 교육 활동이 이루어지는 조산초등학교입니다.

  • 영상보기 홈페이지

    책임 있는 나ㆍ희망찬 우리ㆍ행복한 동광중학교

교육 컨텐츠

달빛동화마을 ☞

농촌을 지키려는 젊은이들이 달과 물, 역사와 전설을 주제로 만든 '달빛동화마을'로 여러가지 농촌체험을 할 수있는 곳 입니다.

체험 프로그램 1) 생태체험(갯벌체험, 미꾸라지잡이)
2) 농촌체험(블루베리체험, 복숭아, 아로니아따기, 도라지캐기)
3) 전통체험(전통혼례체험, 청사초롱만들기, 지푸라기공예)
4) 음식체험(쑥개떡, 인절미, 순무, 고구마묵, 김장김치 등)

인천시 강화군 양도면 강화남로 921번길 10-6
032-937-9960

진강산마을 교육공동체

아이들에게 마을 교육을 통해 우리 아이들의 머리와 마음을 채워 주기위해 결성된 공동체.

체험 프로그램 1) 교육부문 - 15살 인생여행 - 마을연찬회 및 음악회
2) 마을부문 - 음악밴드 - 송이와 버섯들 - 동네마음연구소

인천시 강화군 양도면 강화남로 990-1
032-937-7789

양사면

강화도의 서북단에 위치한 양사면에는 바다 건너 북녘의 황해도가 보인다.
1413년에는 양사면과 북사면으로 구분되었던 것을 1914년 합쳐서 양사면이라 하였다.
당초 양사면에는 두 곳의 절터가 있었다고 전하나 현재는 찾을 길이 없고, 북사면이란 명칭을 볼 때 이 곳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사찰이 존재한 것으로 보인다.

  • 영상보기 홈페이지
    "아름다운 양사, 품격있는 학교" 강화 성덕산 아래 넓은 논밭, 그리고 한강과 맞닿은 수로가 펼쳐진 아름다운 경관 속에 자리잡은 양사초등학교는 4계절 자연학교와 농부학교 운영, 학생과 학부모의 적극적인 교육활동 참여로 즐겁고 행복한 학교입니다.

교육 컨텐츠

고구려 시대에는 동음내현, 통일 신라 시대에는 강음현, 고려시대에는 하음현이었고, 조선 시대인 1413년에는 하음면과 간점면으로 행정 구역을 구분했다.
1914년에 두 면의 한자 운을 따서 하점면이라 했다. 이곳에는 세계적으로 알려진 사적 제137호 강화 부근리 지석묘가 있으며, 많은 고인돌이 분포되어 있다.

  • 영상보기 홈페이지

    아담하고 아름다운 하점초등학교는 봉천산의 높은 기상과 하점벌의 풍요로움을 품은 터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하점초등학교에서는 유구한 역사 속에 슬기로운 배움의 길을 이끌어 진리의 바다로 향하는 미래 인재 키움의 학교입니다.

  • 영상보기 홈페이지

    명신초등학교는 농어촌의 학령인구 감소로 학생 수가 감소하여 위기에 처한 학교를 살리기 위해 인성·꿈·건강이 함께 자라는 자연속의 전원학교를 수년째 운영해오고 있으며, 그로 인해 도시에서 찾아오는 명품 전원학교가 되었고, 사제동행, 계절학교, 농부체험, 숲 생태체험, 무학년제 동아리 운영 등 다양한 교육활동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 영상보기 홈페이지

    나눔과 배려, 정직과 신뢰를 소중히 여기는 학생들과 사랑과 열정으로 잠재력을 키워주는 선생님들과 함께 사랑과 진리로 세상을 품는 멋진 강서인, 강서중학교

교육 컨텐츠

산이골마을학교

평화의 의미를 여러가지 체험 및 활동을 통해 배우는 곳.

체험 프로그램 1) 지역적으로 부족한 예술, 문학, 학습 교육 해결
2) 아이들과 엄마들의 다양한 놀이 교육터
3) PLAY 공간 및 북카페 공간

인천시 강화군 하점면 강화대로 1095
010-5334-2605

강화박물관 ☞

강화의 소중한 역사와 문화유산을 보존하기 위해 유물을 전시,연구, 수집하는 활동을 하는 곳 입니다.

체험 프로그램 1) 민속놀이체험
2)수자기에코백만들기
3)나만의 정원만들기

강화군 하점면 강화대로 994-19(부근리 350-4)
032-934-4296

화도면

한민족의 시조 단군에게 제를 지내는 마니산 참성단이 있으며, 원래는 고가도라는 섬이었다고 전한다.
자기를 생산하던 사기리가 있고 드넓은 강화 갯벌을 만날 수 있는 곳이다.
《여지도서》에는 하도면 下道面이라는 지명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강화도 남쪽 아래에 있다는 뜻인 듯하다.
일제 강점기인 1914년에 화도면華道面으로 개명되었다.

  • 영상보기 홈페이지
    따뜻한 감성으로 미래를 열어가는 글로벌 리더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여 창의적이고 다양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며 농어촌 지역의 특성을 살린 각종 체험학습과 개별화 맞춤형 교육을 통하여 바른 인성과 미래 사회의 주역을 기르기는 화도초등학교 입니다.

  • 홈페이지
    마니산의 맑은 정기를 머금은 행복한 교육의 샘터, 심도중학교입니다.

교육 컨텐츠

생태교육허브 물새알 ☞

한바탕 뛰놀고 훼손하는 갯벌체험이 아닌 관찰과 교감을 통해 갯벌의 진정한 의미를 깨닫고 생명과의 소중함, 치유와 휴식의 시간을 가질 수 있음

체험 프로그램 1) 실내 이론교육: 강화갯벌센터 돌아보기, 종이공작활동 및 체험
2) 현장교육 : 갯벌 생물 채집 및 관찰

인천시 강화군 화도면 해안남로 2293-37 강화갯벌센타
0507-1450-4953

강화도체험학습센터 ☞

도시민들이 시골을 동경하는 마음, 문화 취미활등을 함께 연구하고 지낼 수 있는 공간을 6차산업 토대로 여러가지 체험활동을 제공 하고있다.

체험 프로그램 1) 마니산 숲 생태교실 및 치유의 숲
2) 강화 생태 갯벌
3) 속노랑고구마캐기(생태농사)

인천광역시 강화군 화도면 내리 1323 강화도체험학습센터 (농업회사법인 생태농부)
070-4101-8308